윤연선 (193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연선은 1936년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앙관상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대한민국 철도청, 교통부 등에서 근무하며, 인천지방해난심판위원회 서기과장, 중앙해난심판원 관리계장, 교통부 관광국 시설과장, 기획과장 등을 역임했다. 1978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으며,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본부장을 거쳐 부이사관으로 퇴임했다. 증조부는 윤취동, 종조부는 윤영렬이며, 이복 백부는 윤치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 출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충청남도 출신 - 조남풍
조남풍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야전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특수전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베트남 전쟁 참전, 공수특전부대 육성, 한국형 기갑무기 개발 등에 기여하고, 예편 후에는 동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국제 외교 및 안보 분야에서 활동했다. - 윤보선 - 5·16 군사정변
1961년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이 일으킨 5·16 군사정변은 제2공화국의 불안정과 혼란을 배경으로, 부패한 민정부 타도와 국가 재건을 명분으로 내세워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독재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윤보선 -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은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의원내각제 정부이며, 6·15 개헌을 통해 내각제로 전환되었으나, 민주당 내분, 사회 혼란 등으로 인해 5·16 군사정변으로 붕괴되었다. - 해평 윤씨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해평 윤씨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윤연선 (193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연선 |
원어명 | 尹然善 |
로마자 표기 | Yun Yeon-seon |
출생일 | 1936년 1월 1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공무원, 공공기업인 |
경력 | |
주요 경력 | 교통부 산하 철도청 근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관리본부 본부장 |
기타 | |
병역 | 육군 의무감 |
활동 기간 | 1962년 ~ |
2. 이력
2. 1. 학력
1960년 고려대학교 문리과 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 2. 경력
윤연선은 1960년 중앙관상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1][2][3][4] 1962년 대한민국 철도청 총무과, 1963년 대한민국 교통부 총무과에서 근무했다.[1][2][3][4] 1970년 3월 5일 인천지방해난심판위원회 서기과장직무대리를 거쳐 사무관으로 승진하여 인천지방 해4항청 서기과장을 역임했다.[1] 1972년 대한민국 교통부 산하 중앙해난심판원 관리계장을 거쳐,1973년 12월 11일 대한민국 교통부 관광국 시설과 시설3계장을 역임했다.[1] 1978년 8월 1일 녹조근정훈장을 수상했다.[1]1979년 9월 18일 중앙해난심판원 서기과장[1], 1981년 11월 7일 대한민국 교통부 육운국 차량과장, 1983년 11월 11일 대한민국 교통부 관광국 시설과장을 역임하였다.[1][2] 1986년 12월 22일 대한민국 교통부 관광국 기획과장, 1987년 12월 21일 대한민국 교통부 서울지방항공관리국 관광기획과장[2], 1989년 1월 7일 대한민국 교통부 관광국 운수지도과장[3], 1990년 7월 8일 대한민국 교통부 관광국 화물과장을 역임했다.[1] 행정부이사관대우를 거쳐,1992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 파견되었다.[4] 1992년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관리본부 본부장을 역임하고,[4] 대한민국 교통부 부이사관으로 퇴임하였다.
3. 수상 경력
1978년 녹조근정훈장
4. 가족 관계
증조부는 윤취동(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이다.[5] 종조부는 윤영렬(1854년 ~ 1939년)이고,[5] 대고모는 해평윤씨(1835년 ~ 1920년)이다.[5] 이복 백부는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었던 윤치호(1864년 음력 12월 26일 ~ 1945년 12월 9일)이나, 친일 논란이 있다.[5] 삼촌은 윤치창(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이다.[5]
형은 윤도선(1932년 3월 5일 ~ )이며, 형수는 한정기이다. 다른 형은 윤훈선(1934년 6월 26일 ~ )이다. 누나 윤선희(1915년 9월 29일 ~ )는 제7대 내무부장관을 지낸 장석윤(1904년 ~ 2004년 1월 16일)과 결혼하였으나, 장석윤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7]
장남은 윤만구(尹晩求)이고, 차남은 윤경구(尹暻求)이다. 장녀는 윤현구(尹眩求)이며 사위는 김인호이다.
참조
[1]
신문
인사
동아일보
1979-09-18
[2]
신문
인사
매일경제
1987-12-21
[3]
신문
인사
동아일보
1989-01-07
[4]
신문
서울~釜山 고속전철 100分 주파
경향신문
1992-05-09
[5]
문서
아버지 윤치왕의 생모
[6]
문서
1895년 2월 10일생 설, 1895년 2월 17일생 설(해평윤씨대동보 권삼, 1983, 611쪽)등이 언급되고 있다. 제적등본과 육군본부의 「장교자력표」에는 1895년 2월 16일생으로 되어 있다.
[7]
뉴스
장석윤 前 내무장관 별세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4-01-18
[8]
웹사이트
http://www.ionyang.c[...]
[9]
신문
読者 가이드
조선일보
1970-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